안녕하세요 Kuz입니다. 직장인들이 가장 예민해하는 부분이 바로 급여인데요. 이번포스팅에서는 연봉에서 월급계산하는 방법과 월급에서 4대보험과 소득세를 제외한 실수령액 계산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
■월급 실수령액 계산방법
먼저 4대보험요율을 아셔야하는데요.
2019년 4대보험 요율
-국민연금 4.5%
-건강보험 3.23%
-장기요양 8.51%
-고용보험 0.65%
장기요양은 건강보험료에 곱하고, 산재보험은 회사에서 100% 부담하기 때문에 직원이 계산하지 않습니다. 자 이제 계산기로 계산해보겠습니다.
월급여가 2,000,000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▶국민연금 2,000,000 × 4.5% = 90,000
▶건강보험 2,000,000 × 3.23% = 64,600
▶장기요양 64,600 × 8.51% = 5,490
▶고용보험 2,000,000 × 0.65% = 13,000
4대보험 합계 : 173,090원
월급실수령액 : 2,000,000-173,090 = 1,826,910원
계산해보니 어떠신가요? 200만원이라고 하면 그래도 어느정도 되는것 같은데 4대보험을 계산하고 나니 많이 적어진 것 같죠?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. 아래 첨부한 파일은 근로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는 표입니다.
위 계산한 실수령액에서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차감해야 순급여가 됩니다. 지방세는 소득세에 10%이니 참고하여 계산해주시기 바랍니다.
근로소득세액표에 의해 위 급여를 계산해보면
근로소득세 : 19,520
지방소득세 : 1,950
***월급 실수령액 최종 : 2,000,000-173,090-21,470 = 1,805,440
연봉 2400의 월 실수령액은 위 금액이 되겠습니다. 여러분들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해보시면 자신의 월급 실수령액을 계산하실수 있으십니다.
참고사항!!
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상한액이 있습니다.
월 468만원부터 이상으로는 아무리 많은 소득이 발생해도 4.5%가 아니라 468 * 4.5%인 210,600원만 차감합니다. 또한 건강보험의 경우 318만 2760원이상은 올라가지 않는데 계산해보면 월 급여가 1억이상인 고소득자게에게만 해당됩니다.
Another Info!!
[★정보/생활] - 일용직 4대보험 신고 기준(아르바이트)
[★경영업무와 정보/인사] - 1년미만 연차발생기준, 2019년 표준근로계약서
[★정보/금융] - 사업자 창업대출, 미소금융창업대출 자격조건
[★경영업무와 정보/인사] - 일용직근로자(아르바이트) 4대보험 의무화&가입기준
[★정보/경제] -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<4대보험자동계산>
[★정보] - 애플창업자, 스티브잡스가 전세계에 남겼던 애틋한 삶의 교훈.
'기타콘텐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일정(국가전문자격증포함) (0) | 2019.03.11 |
---|---|
손흥민 주급, 아시아 최고의 선수? (0) | 2019.03.11 |
일용직 4대보험 신고 기준(아르바이트) (0) | 2019.03.11 |
[명곡]Can`t take my eyes off you - Morten Harket (듣기/가사/해석) (0) | 2019.02.28 |
[신나는팝송]브루노마스 - marry you [가사/해석/듣기] (0) | 2019.02.28 |